본문 바로가기

  1. 주요사업
  2. 첨단산업·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(K-디지털 트레이닝)

첨단산업·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
(K-디지털 트레이닝)

- 지역·산업 주도형 아카데미형 -

K-디지털 트레이닝이란?

  • AI, 클라우드, 반도체, 로봇 등 첨단산업·디지털 분야 취창업을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다양한 훈련과정을 제공하는 직업훈련사업

추진배경 및 목표

  •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산업 전반에서 실무역량으로 디지털 능력을 요구
  • 이에 국민들의 디지털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기술 분야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대두
  • 「한국판 뉴딜」 일환으로 추진 중인 K-디지털 트레이닝은, 혁신적인 기술·훈련방법을 가진 기업-대학-민간 혁신기관을 통해 인공지능(AI), 빅데이터, 클라우드 등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‘미래형 핵심 실무인재 양성’을 목표로 추진 중

사업 추진체계

  1. 사업공고

    직업능력심사평가원

  2. 협약*

    참여기업
    -RSC-
    훈련기관
  3. 사업신청

    훈련기관

  4. 선정심사 및
    결과 공고

    직업능력심사평가원
  5. 훈련과정인정

    지방고용노동관서
  6. 훈련생 선발 및
    훈련실시

    훈련기관
  7. 훈련비 및
    훈련장려금 지급

    지방고용노동관서
  8. 성과평가

    직업능력심사평가원

*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지역의 인재 양성을 위하여 참여기업과 훈련기관을 발굴·매칭 후 3자 협약을 체결하여 과정설계 및 훈련 운영

훈련분야

훈련분야
신기술 분야(12개) 세부직종
디지털 분야
(9개 직종)
1.인공지능   2.클라우드   3.사물인터넷   4.메타버스   5.5G‧6G   6.일반S/W   7.블록체인
8.빅데이터   9.사이버 보안
첨단산업 분야
(12개 직종)
1.이차전지   2.디스플레이   3.3D프린팅   4.첨단소재   5.반도체   6.나노   7.로봇   8.드론
9.바이오헬스   10.에코업   11.신재생에너지   12.수소

훈련내용 및 방식

  • 청년들이 선호하는 혁신적인 훈련기관·선도기업·대학 등이 훈련기관으로 참여
  • AI, 빅데이터 등 디지털·신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기반기술, 그리고 이를 활용한 핀테크, 스마트제조 등의 응용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과정을 제공
  • 비전공 청년이라도 디지털·신기술 분야 현장에서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역량 제고 가능
    • 기업과 연계한
      현장 맞춤 훈련
    • 프로젝트 중심 훈련
      (전체 훈련과정의 30%)
    • 집중 훈련
      (평균 6개월·주5일·8시간)
      *훈련과정별 차이있음
    • 개인 맞춤형 훈련
      (경험·문제해결 중점)

훈련지원

훈련생

  • 지원대상: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고 직업훈련에 참여하려는 자
  • 훈련비: 전액지원(K-디지털 트레이닝 최초 1회 수강자에 한함)
  • 지원내용
    지원내용
    내용 훈련장려금 특별훈련수당
    지급금액 매월 116,000원 지급 매월 최대 20만원 수당 추가 지원
    (단, ‘단기 심화과정’ 제외)
    지급대상 총 훈련시간 140이상 구직자,
    1주일 15시간 미만 근로자
    훈련장려금 지급대상자
    1일 5시간 이상, 출석률 80%이상
    관련근거 「국민내일배움카드 운영규정 제49조 제1항」 「국민내일배움카드 운영규정 제49조 제2항」

훈련기관

  • 훈련신청과정
    훈련신청과정
    구분 지역·산업 주도형 아카데미
    ① 일반 훈련과정(350시간 이상)
    - 신기술 과정 신청 가능
    - 융합분야 과정
    ② 단기 훈련과정(350시간 미만)
    - 심화 과정 신청 가능
  • 훈련비 지원기준
    훈련비 지원기준
    구분 NCS단가
    130%
    NCS단가
    200%
    18,150원 NCS단가
    300%
    훈련비
    실비
    ① 일반 훈련과정(350시간 이상)
    - 신기술 과정 신기술
    (21개직종)
    신청가능
    - 첨단분야
    (12개직종)
    신청가능
    첨단분야(9개직종)*
    신청가능
    - 융합분야 과정
    ② 단기 훈련과정(350시간 미만)
    - 심화 과정 - 신기술
    (21개직종)
    신청가능
    첨단분야
    (12개직종)
    신청가능
    - 첨단분야
    (9개직종)*
    신청가능

    * 이차전지, 첨단소재, 반도체, 디스플레이, 나노, 바이오 헬스, 에코업, 신재생에너지, 수소

  • 신청자격
    신청자격
    구분 지역·산업 주도형 아카데미
    ① 우수훈련기관 신청 가능
    ② 3년 인증기관
    ③ 성과충족기관
    ④ 일반재정지원대학 또는 특수목적대학(산학협력단)
    ⑤ K-하이테크 플랫폼 선정기관
    ⑥ 첨단산업 공동훈련센터

    ※ 훈련신청과정 및 훈련비 지원기준, 신청자격의 세부적인 내용은 문의 바랍니다.

KDT 훈련기관 신청 문의

  • 032-810-2843, 2844, 2846, 2854, 2920

교육훈련과정 바로가기